유럽에서 어느 운송업체가 북해에서 잡은 청어를 산채로 런던으로 운송해달라는 주문을 받았다. 대부분의 청어가 장거리 운송도중 죽어버려 신선도가 떨어지므로 산채로 운송을 하여야 제 값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운송업체로서는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.
그러나 기발한 역발상으로 그 업체는 산채로 청어를 배달해서 톡톡히 재미를 봤다. 그 비결은 청어를 운반하는 용기에 메기 한 두마리를 넣어 청어들에게 절박감을 준 처방에 있었다. 청어들은 메기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기를 쓰고 도망다닌 결과 목적지까지 생명을 유지 할 수 있었던 것이 다.
메기가 축낸 청어는 고작 한두 마리에 불과했다.
이 유명한 메기이론이 또 다른 각도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크다.
긴장이 없고 편안하면 오히려 느슨해져서 경쟁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. 마치 매너리즘에 빠진 조직이 생동감이 없는 것처럼 말이다.
주변에 동종업체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홀로 장사하는 어느 음식점이 있다고 하자. 맛과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갖추고 더구나 경쟁구도가 하나도 없어서 장사가 잘 될 것 같은데 결과는 실패이다.
갈수록 절박감이 하나도 없어지고 여러 가지로 무뎌져서 결국 폐업을 면치 못하게 된다.
우리가 늘 보게 되는 먹자 골목, 공구상가, 휴대폰 거리 등은 바로 서로 서로의 적절한 절박감 속에서 더 잘되고 살아남는 경우이다.
조직도 마찬가지다.
선의의 경쟁자가 많아야 나 자신이 그 속에서 살아남으려고 애를 쓰고 남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내는 법이다.
우리 회사에 대적할 또 다른 경쟁업체가 생겼다고 위기의식만을 느끼기 보다는 그 절박감이 우리를 더욱 잘 하게끔 채찍질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고 생각해야 한다.
정신 바짝 차리고 다른 곳보다 더 노력하면 틀림없이 잘 될 수 있다.
우리는 어떠한 시련이나 좌절코스가 생기면 맥없이 무너지는 약한 모습을 많이 보인다. 그러나 성공한 사람들을 잘 살펴보라. 절박감을 배수의 진으로 여기고, 의연하게 절망의 바닥을 찍고 우뚝 선 사람들이 대부분이다.
이처럼 모든 것에는 적절한 절박감이 존재해야 한다. 물론 절박한 상황까지 가지 않고 성공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이 어디 평탄한 길만 주어지는가?
분명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이 함께 공존한다. 힘든 오르막길을 만나도 힘차게 치고 올라가는 동력을 갖고 있다면 다른 길에서의 행보는 훨씬 수월해진다.
그 성공의 동력이 의외로 절박감 인식인 것이다.
통계적으로 보더라도 고민이 없는 편안한 삶이 결코 행복하지 않다고 한다.
사회보장 제도가 그렇게 잘 되어 있는 유럽의 선진국이 다른 나라 보다 자살율이 높은 이유만 봐도 그렇다. 모든 것을 그저 좋은 방향, 안정된 방향, 편안한 방향으로만 좇으려 하지 말자.
그렇게 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길고 오래 갈 수가 없다.
지금의 무난한 생활이 일년이 지나고 십년이 지나도 똑같을 수 없지 않은가? 스스로 어느 정도의 절박감을 부여하도록 하자.
우리 자신이 청어라면 우리에게 위협을 가하는 메기가 존재해야 한다. 급변하는 시장 환경, 목표달성에 대한 압박감, 명퇴 등이 메기가 되어 우리를 잡아먹으려 할지 모른다.